라이프

은둔 생활자를 위한 선진국의 정책에 대하여 알아보기

maya88 2025. 1. 29. 20:58

방에서 나오지 않는 자 그들을 은둔생활자라 한다. 우리나라도 젊은 은둔 생활자들의 심리나 정신을 돌보려는 정부의 정책이 청소년 복지센터나 지자체 정신복지센터를 중심으로 점점 늘고 있다.


아래에서 선진국의 은둔생활자를 위한 정서적 지지 및 사회 참여 유도 활동 등을 알아보려 한다.

1. 개인 맞춤형 심리적 지원 프로그램
1) 영국 (IAPT: Improving Access to Psychological Therapies)
• 은둔생활자를 포함한 정신건강 문제를 가진 사람들에게 빠르고 접근 가능한 심리 치료 서비스를 제공.
• 온라인 상담, 전화 상담, 대면 치료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초기 접근.
• 사례: 영국 전역에서 제공되는 IAPT 프로그램은 불안 및 우울 증상을 가진 은둔생활자들이 치료를 빠르게 받을 수 있도록 지원.
• 주치의(GP)를 통해 무료로 연결되며, CBT(인지행동치료)와 심리상담이 주된 치료법임.
2) 미국 (Community Mental Health Programs)
• 방문 상담 서비스로 초기 접촉을 시도하며 은둔형 생활자의 정서적 지원 제공.
• 사례: 뉴욕의 Fountain House는 은둔형 생활자를 위한 직업훈련과 심리 상담을 통합하여 사회 복귀를 돕는 모델로 유명함.
3) 스웨덴 (Mental Health First Aid Programs)
• 지역 보건소에서 은둔형 청년과 가족을 대상으로 정기적인 상담 워크숍 운영.
• 초기 접촉 시 정신건강 응급처치 교육을 통해 가족과 지역사회가 협력하도록 지원.

2. 사회적 기술 향상 프로그램
1) 영국 (Jobcentre Plus & Supported Employment)
• 은둔형 생활자나 정신건강 문제를 가진 사람들에게 맞춤형 직업 상담과 취업 지원 제공.
• 사례: “Work and Health Programme”은 정신건강 문제를 가진 참여자들에게 맞춤형 직업 훈련과 사회적 기술 교육을 제공하며, 고용된 이후에도 지속적인 멘토링을 지원.
• 직업 상담사는 개인의 정신건강 상태에 맞춘 일자리를 연결하고 근무 환경 조정까지 도움.
2) 미국 (IPS: Individual Placement and Support)
• 개인의 능력에 맞는 일자리 연결 및 직업 훈련 제공.
• 고용 이후에도 지속적인 심리 및 직업 지원.
3) 스웨덴 (Folkbildning)
• 커뮤니티 센터에서 무료 워크숍과 교육 제공.
• 은둔형 생활자가 자연스럽게 사회적 소통 기술을 습득할 기회를 가짐.

3. 그룹 기반 커뮤니티 활동
1) 영국 (Mind의 Peer Support Groups)
• 정신건강 비영리단체인 Mind는 은둔생활자들이 비슷한 경험을 가진 사람들과 소통할 수 있도록 동료 지원 그룹을 운영.
• 예술 치료, 운동 프로그램, 그룹 토론 등의 다양한 활동 제공.
• 사례: 런던의 Mind in Haringey는 은둔형 생활자들을 위한 주간 소셜 그룹을 통해 사회적 관계 회복 지원.
2) 미국 (Peer Support Groups)
• NAMI(National Alliance on Mental Illness)에서 소규모 지원 그룹 운영.
• 동료 간 정서적 지지를 통해 사회 참여 유도.
3) 스웨덴 (Cultural Therapy Programs)
• 예술, 음악, 문학을 활용한 심리치료 및 커뮤니티 참여 프로그램.
• Art for Health 프로그램은 은둔생활자들이 자신을 표현하고 타인과 연결될 기회를 제공.

4. 정책적 지원 및 제도 개선
1) 영국 (Social Prescribing 정책)
• GP(주치의)가 환자에게 약물 대신 지역사회 활동(예: 예술 수업, 운동 프로그램)을 처방하는 방식.
• 사례: NHS(국민보건서비스)는 은둔형 생활자를 포함해 사회적 고립을 겪는 사람들에게 예술, 원예, 운동 등 비약물적 접근을 통해 정신건강 개선을 유도.
2) 미국 (Housing First 프로그램)
• 은둔생활자들에게 안정된 거주지를 먼저 제공한 후 정신건강 서비스와 사회 참여를 유도.
3) 스웨덴 (National Mental Health Initiatives)
• 지방 자치단체에 정신건강 프로그램 운영을 의무화하여 초기 접촉부터 사회 복귀까지 지원.
• 무료 심리치료 및 생활보조비 제공.

이러한 프로그램과 정책들은 은둔생활자의 정서적 안정뿐만 아니라 그들이 사회에 재참여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지속 가능한 환경을 조성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. 영국의 Social Prescribing 정책은 특히 개인 맞춤형 사회적 활동을 통해 은둔생활자가 자연스럽게 사회에 재통합되도록 돕는 대표적인 사례이다.


반응형